posted by 검신흑태자 2025. 4. 8. 22:01

우린 늘 무엇이든 선택해

 

위험한 아이들(원제 : Dangerous Minds)은 1995년 작품으로 미셸 파이퍼가 주연하고 존 N. 스미스가 감독인 교육에 관한 해당 시대의 현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영화입니다. 옛날 영화는 종종 찾아서 보는 편인데도 이 영화는 존재 자체도 모르고 있다가 간간히 TV 채널을 돌릴 때면 나오는 '전기현의 씨네뮤직'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처음 알게 된 영화입니다. 평소에도 음악이나 영화를 좋아해서 해당 프로그램은 TV 채널을 돌리다가 - 0번부터 끝까지 가끔 돌려보는 습관이..- 방송을 하고 있으면 옛날 편이든 요새 편이든 틀어놓고 보는 편인데 이 영화가 나온 회차를 재방송할 때 틀어놓았다가 음악도 음악이지만 소개해주는 스토리가 마음에 든 편이라 한번 봐볼까 하고 생각하고 있던 차에 현재 구독하고 있는 OTT 중 하나인 디즈니 플러스에 이 영화가 있길래 OTT로 시청했습니다.

 

영화의 주요 내용은 루앤 존슨(미셸 파이퍼)가 해병대 복무를 하다가 복무를 정리하고(왜 정리하고 제대했는지는 안 나옵니다) 학교의 교사로 취임을 하게 되는데 취임해서 담임을 맡은 클래스가 문제아로 가득한 클래스에 사회적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 주로는 가난해서 인 것 같습니다 - 아이들이 있는 클래스입니다. 여기에서 아이들에게 시를 가르치면서 아이들과의 교감과 진정한 선생님으로 성장해 가는 게 이 영화의 주요 내용입니다.

 

이렇게 줄거리만 간단히 써 놓으면 뭔가 평이하고 지루한 내용인 것 같지만 주인공이 담임을 맡은 클래스의 아이들은 사회적인 배경과 가난, 주변 어른들의 무관심 등으로 인해 마음의 문을 닫고 있기 때문에 문제아가 된 것이라 주인공이 이 아이들의 사정을 차차 이해해 나가면서 아이들과 진정으로 교감을 하게 되고 도와주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어서 영화가 지루할 틈이 별로 없습니다. 보면서 생각이 들었던 영화는 '죽은 시인들의 사회'나 '디태치먼트'였는데 이 영화와는 결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표현해내고자 하는 부분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인공인 선생님들은 모두 문학을 가르친다는 점에도 비슷한 점이 꽤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영화의 후반부에 들어서는 사회적인 분위기와 풍토에 대한 이야기가 대두되고 아이들을 위해서 노력하지만 자신이 해줄 수 있는게 거의 없다는 걸 깨닫게 되는 루앤 존슨의 방황(방황 자체는 잘 표현되지 않네요) 등이 영화의 후반부를 이끌어 갑니다. 그리고 그렇게 영화의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더욱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 같네요. 꽤 오래 전의 영화라 결말까지 다 이야기할 수는 있겠지만 그래도 안 보신 분들도 있고 해서 결말까지 다 쓰지는 않겠습니다. 저는 식스센스를 성인이 돼서야 봤는데 그 스포일러를 이미 너무 많이 접해서 어쩔 수 없이 알고 봤거든요.. 아 저는 스포일러를 당하고 영화를 봐도 괜찮은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보지 않은 영화 등에 대해 결말은 직접 보고 싶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으시니 결말은 한번 영화를 직접 보시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요새 넷플릭스니 디즈니 플러스니 티빙이니 해서 저도 OTT에 꽤 가입을 하고 있긴 하지만 그로인해 쏟아지는 콘텐츠들도 그렇고 쉽게 껐다가 다시 볼 수 있다는 장점인지 단점인지 모를 점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을 집중해서 보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 물론 잘 집중하지 않는 제 자신이 제일 큰 문제 이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이 영화는 오랜만에 OTT에서 집중해서 볼 수 있었던 영화네요. 평이한 것처럼 흘러가는 내용에도 긴장감을 놓지 못하게 하는 요소가 있고 이런 식의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를 좋아하는 편이라 오랜만에 자리에 앉아 무척 재미있게 보았네요. 게다가 결말조차 제가 좋아하는 방향으로 끝났기 때문에 더 마음에 들었네요. 이런 종류의 영화를 좋아하시면 한번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영화 > 외국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부르의 우산  (0) 2021.04.21
킬러의 보이프렌드  (0) 2021.04.21
posted by 검신흑태자 2025. 4. 7. 19:18

phpMyAdmin은 웹 환경에서 MySQL(Maria DB)를 관리할 수 있는 PHP로 만들어진 DB 관리 툴입니다. 물론 MySQL Workbench나 MariaDB 설치시 같이 설치되는 HeidiSQL 등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XAMPP로 활용을 하시는 분들도 많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XAMPP가 제공하는 툴 중에 하나가 phpMyAdmin이기도 하고 웹 환경에서 localhost 접속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등의 서버 확인 여부와 관리의 편리성 때문에 저는 phpMyAdmin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phpMyAdmin을 윈도우 11환경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원래 XAMPP를 쓰시던 분들은 localhost에 locahost/phpmyadmin 을 입력하시면 접속이 잘 될겁니다. 그게 아니라 저처럼 다 따로 설치하시는 분들은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MySQL과 같이 설치하기 어렵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 기준으로 설치시에 처음에는 PHP 8.4(최신버전)으로 phpMyAdmin을 설치했었는데 오류가 너무 많고 제대로 phpMyAdmin 접속이 되지 않아 Github와 관련 부분들을 찾아봤지만 마땅히 시원스런 해결법이 없어서 저는 PHP 8.3으로 버전을 다운그레이드 시켜서 설치했습니다. 혹여나 설치를 하셨는데 안되시는 분들은 PHP 버전을 확인해보시고 낮춰서 한번 해보세요. 희안하게도 Linux 서버에서는 8.4가 시원스럽게 잘 지원됩니다..

 

아무튼 phpMyAdmin도 다른 프로그램들과 비슷한 방법으로 설치를 합니다.

 

1. phpMyAdmin 공식 사이트(https://www.phpmyadmin.net/)에서 다운로드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합니다.

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 시킵니다.

3. Nginx가 지정하는 Document Root 경로에 phpmyadmin으로 폴더 이름 변경 후 이동(다른 폴더 이름도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4. 주소창에 localhost/phpmyadmin을 입력해 제대로 로그인 창 등이 뜨는지를 확인합니다.

5. root 접속 등은 MySQL 설치 시 설정했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접속하면 됩니다.

 

PHP 버전에 관계가 있는걸 알지 못하고 저는 설치하는데 엄청 고생을 했는데 다른 분들은 그렇게 고생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posted by 검신흑태자 2025. 4. 7. 00:07

이것도 카테고리 분류를 조금 고민하다가 이건 DB에 대한 거라 DB & MySQL 환경으로 넣었습니다. 나중에 카테고리를 재정리할 필요가 있겠네요 ^^;;

 

이번에는 MySQL을 윈도우 11 환경에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전에 PHP와 Nginx를 설치한 이후 개발을 하다 보면 DB가 필수가 되는데 유명한 통합 설치인 XAMPP 등을 이용하시는 게 여러 포스팅을 보시는 것보다 편하지만 제 컴퓨터의 문제인지 XAMPP에서는 MySQL(Maria DB)가 시작이 되지 않는 오류가 간헐 적으로 일어나서 해결책을 찾아보니 명확한 해결책은 없고 데이터를 무조건 백업했다가 덮어쓰는 방법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 작업이 귀찮기도 하고 해서 그냥 따로 설치했습니다. 

 

아무튼 MySQL도 따로 설치하실 때 방법은 간단합니다.MySQL과 MariaDB는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거의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니 원하시는 걸로 설치하셔도 무방합니다

 

1. MySQL은 MySQL 홈페이지(https://www.mysql.com/)에서 MariaDB는 MariaDB 홈페이지(https://mariadb.org/) 에서 다운 및 설치가 가능합니다.

2. 제 경우에는 Maria DB를 설치했기에 그걸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MariaDB는 압축 해제를 통한 설치도 지원하지만 설치 프로그램 형태로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설치 안내에 따라 경로 수정, 루트 비밀번호 및 외부접속, 기본 문자열 인코딩 등을 본인이 원하는 대로 설정하시고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3.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가 되었는지는 같이 설치되는 heidiSQL로 확인 가능합니다. 아니면 설치된 경로에 bin 폴더를 cmd로 띄워서 mysql --version 명령어를 입력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4. 다른 PHP나 Nginx와 다르게 서비스에 자동적으로 등록되어 실행됩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다 보니 편한 것도 있고 불편한 점도(설정 등) 있네요. 그래도 하나하나 본인이 해결해간다는 느낌이 들어서 저는 개별적으로 다 설치하는 쪽이 더 좋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