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검신흑태자 2025. 4. 3. 00:26

너는 내 자부심이야

 

'승부'라는 영화는 2025년 3월에 개봉한 영화로(바로 전주에 개봉했습니다) 이병헌, 유아인 등이 주연이며 감독은 '보안관' 영화의 감독이었던 김형주 감독입니다.

 

원래는 이런 영화가 있었는지 개봉을 할 예정이었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가 얼마 전 무심코 TV 채널을 돌려보다가 영화를 소개해주는 프로(출발 비디오 여행이었는지는 잘 기억이 안납니다..)를 봤을 때 이 영화에 대한 소개가 나와서 보는데 최고의 바둑기사라고 불리는 조훈현 9단과 이창호 9단에 대한 이야기였던 것에 흥미를 느꼈고 주연배우가 이병헌 씨였기 때문에 한번 봐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에 정말 오랜만에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보았습니다. 2023년 4월에 맷데이먼과 벤 애플렉 주연인 '에어'라는 영화 이후로 장장 2년 만에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보게 되었더군요. 아 생각해 보니 혼자서 2023년 8월에 오펜하이머도 한번 봤었네요. 아무튼 거진 2년 만에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게 되어 감회가 새롭더군요. 

 

원래는 바둑은 둘 줄 모르지만 늘 흥미는 있었고 재미있게 봤던 만화인 '미생'에서도 바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여러가지 바둑에 대한 이야기는 좋아했었습니다. 어렸을 때 잠깐이지만 바둑을 배운 적도 있었지요 - 유치원 때 잠깐이었지만..- 지금도 관심은 계속 있어서 책도 사두고 스팀에서 게임성 좋기로 소문난 바둑 게임도 사뒀지만..실제로는 선입견 때문인지 진입장벽 때문인지 쉽게 시작을 하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유명하고 일화도 많기로 소문난 두 바둑기사의 이야기라 T 멤버십 VIP 무료티켓도 남아있어서(매년 이 티켓 횟수만큼은 봐야지 하는데 CGV가 멀기도 하고 해서 날려버린 게 꽤 많네요) 어머니와 함께 안산 CGV에 예매를 해서 영화를 봤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제 취향에는 딱 맞는 영화였네요. 이병헌씨와 유아인 씨의 연기는 뭐 말할 것도 없고 자칫하면 지루해질 수 있는 소재인 바둑이라는 소재에 대해서는 바둑을 몰라도 볼 수 있도록 바둑용어는 거의 나오지 않고 바둑을 두는 장면 자체도 그렇게까지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물론 바둑 자체를 계속 두지만 바둑을 알아야만 알 수 있는 내용들은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두 사람의 사제관계도 적절히 강약을 조절해 가면서 세월에 흐름에 따라 관계를 잘 표현해 내서 뒤의 내용이 어떻게 될지 아는 분도 많을 텐데 뒷 이야기를 궁금할 수 있도록 영화에서 잘 풀어낸 것 같네요.

 

대략적인 줄거리는 세계대회에서 우승한 조훈현 9단(이병헌)이 이창호 9단(어린시절 - 김강훈 / 이후 - 유아인)과 어린 시절에 한번 대국을 한 뒤에 조훈현 9단이 사활문제를 내고 이창호 9단이 그 문제를 풀게 되면서 조훈현 9단이 직접 이창호 9단이 사는 지역까지 내려와 한번 더 대국을 하고 그 이후 이창호 9단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같이 살게 되면서(이걸 내(內) 제자라고 하더군요) 이야기는 시작되고 두 사람과의 관계와 바둑에 대한 이야기들로 영화는 채워집니다. 더 써 내려가고 싶긴 하지만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줄거리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 해야겠네요. 예전에는 스포일러는 접어뒀는데 지금 블로그 재활 중이라 나중에는 그렇게 해야겠네요^^;;

 

두 사람의 일화는 이미 유명한게 많아서 익숙한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 나름의 각색의 매력이 있듯이 두 사람의 이야기를 이렇게 영화로 보게 되니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볼 수 있었고 느낌도 새로워서 좋았습니다. 다만 이창호 9단의 유명한 일화 중 하나인 세계대회에서 혼자 남아 많은 기사들을 이기는 내용도 나올 줄 알았는데 조훈현 9단과의 관계에 집중한 영화라서 그런지 그 장면은 안 나온 게 아쉽네요. 그리고 영화를 볼수록 유아인 배우는 아쉽네요..

 

요새는 어떤 영화든 금방 OTT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것도 있고 영화표 값이 상당히 비싼 이유도 있고 해서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건 정말 오랜만이었는데 어머니와 같이 시간을 보내서도 좋았고 영화도 재미있었어서 하루의 반 이상 즐겁게 보낼 수 있었네요. 이 영화가 계기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묵혀두었던 바둑 기초 책도 한번 꺼내서 볼 수 있도록 해봐야겠습니다. 바둑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도 바둑을 모르시지만 두 사람의 이야기에 흥미가 있으셨던 분들도 한 번쯤 보셔도 괜찮을 것 같네요

posted by 검신흑태자 2025. 4. 1. 23:57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 급하게 버튼을 만들고 다른 페이지로 이동을 시켜야 하는 일이 있었는데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PHP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대개는 버튼 등은 HTML 태그를 이용해서 만드는 편이어서 간편하게 input 태그에서 button 입력 시에(클릭) 외부 링크나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 파일로 이동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현재 탭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input type="button" onClick="window.location='이동경로(링크) 혹은 파일경로'">
<input type="button" onClick="location.href='이동경로(링크) 혹은 파일경로'">
예시
<input type="button" name="test" id="test" value="현재탭" onClick="window.location='test.php'">
<input type="button" name="test2" id="test2" value="현재탭2" onClick="location.href='test2.php'">

 

큰 문제까지는 아니지만 가끔씩 location.href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저는 주로 window.location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현재 탭의 정보는 그대로 두고 새 탭에서 열려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설정을 누르고 새탭에서 설정하고 돌아온다거나) 그 경우는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input type="button" onClick="window.open('이동경로 혹은 파일경로')">
예시
<input type="button" name="test3" id="test3" value="새탭" onClick="window.open('test3.php')">

 

혹은 팝업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대부분은 새탭보다는 이걸 선호할 수 있겠네요) 이 경우는 window.open에 옵션으로 팝업의 이름과 크기 등을 지정해서 사용하면 간단하게 팝업 출력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코드의 옵션 외에도 스크롤 여부 등의 추가 옵션이 있기 때문에 세세한 사항을 설정하고 싶으시면 그 옵션들을 찾아보시면 될 것 같네요.

<input type="button" onClick="window.open('이동경로 혹은 파일경로', '팝업이름', 'width=가로크기, height=세로크기')">
예시
<input type="button" name="test4" id="test4" value="팝업" onClick="window.open('test4.php', 'POPUP', 'width=300, height=400')">

 

이렇게 팝업 출력을 할수는 있지만 매번 입력하기도 번거로운 측면이 있고 해서 자바 스크립트로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이 되네요. 버튼을 이용해서 링크 이동은 이정도만 알고 있어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검신흑태자 2025. 3. 30. 20:11

어쨋든 개발자는 결국 ‘마음처럼 되는 세상’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을 거에요

 

'코딩으로 세상을 바꿀수 있다면' 책은 현직 여성 개발자인 이래은 이라는 분께서 쓰신 책입니다. 이 책의 경우 예전에 제목 때문에 그냥 구매했던 책중에 한권인데 한동안 독서를 하지 않고 - 블로그를 보니 작년 4월에 글을 쓰고 안쓴 것을 보니..거진 1년동안 독서를 하지 않았네요. ㅠ_ㅠ - 가방에만 이 책을 넣어다니다가 요새 들어 다시 독서하는 습관을 되돌리기로 마음먹고 꾸준히 일주일 정도 읽어서 완독한 책입니다.

 

아무 정보도 없이 그냥 제목에 코딩도 들어가고 어떤 내용일지 궁금해서 제목만 보고 구입한 책인데 예상했던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술 적용이나 노하우 같은 것이 담긴 책이 아니라 프로그래밍이라는 자체에 대한 소개와 프로그래밍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실생활에서는 어떤 도움을 주고 어떤 부작용 들이 있는지를 흥미롭게 쓴 책입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입문용 책으로 좋을 것 같긴한데 여기서 제가 말하는 입문이란 이전에 리뷰를 한적이 있던 'Hello Coding 프로그래밍' 이라는 책처럼 하나의 언어를 선택하여 간단한 코드 작성의 문법과 기술을 알려주며 흥미를 유발하는 방식의 책이 아니라 프로그래밍의 간략한 역사에서부터 최초의 프로그래머에 대한 이야기, 개발자는 어떤식으로 개발을 하고 디버깅을 하는지, 왜 개발자들이 논리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는지 같은 흥미 위주의 내용이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처음 책이 출판된게 2023년으로 2년 전이긴 해도 빅데이터와 프로그래밍의 상관관계나 ChatGPT에 대한 내용도 조금은 포함하고 있고 프로그래밍 혹은 프로그램 자체를 만들 때 생각해봐야 하는 윤리적이나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코딩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는 책들이 대개 코드들이 많이 들어있으면서 보기 어려운 책이 많이 있는 반면에 이 책은 무난하게 어떤게 프로그래밍이고 어디에 적용할 수 있고 어떤식으로 발전해 왔는지 같은 흥미 위주의 내용이 많기 때문에 책을 읽을 때 진입 장벽 없이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은데 막상 코드부터 짜려는 책들을 보면 어려워 보이거나 거부감이 드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는데 이 책은 그런 부분은 일절 없고 책에 그림도 삽입되어 있고 글씨도 큼직한 편이라 읽기도 쉬워서 한번 쭉 읽어보고 더 흥미가 생겨서 프로그래밍의 세계로 입문하기에 적합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코딩을 논하는 만큼 아주 간단한 코드들이 들어가 있기는 한데 전혀 몰라도 상관없이 읽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중에 하나가 되겠네요.

 

책의 챕터도 각각의 내용에 따라서 잘 세분화 되어있고 거기에 해당하는 내용도 간단하게 풀어서 - 예를 들면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도 간단하게 나와있습니다. - 이야기하고 있기에 개발자인 제가 볼때는 더욱더 부담없이 볼 수 있었네요. 개발에 입문하고 싶으신 성인분들에게도 좋겠지만 내용의 구성이나 설명 방식이 어린 아이에게도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변에 프로그래밍에 흥미는 조금 있지만 무작정 개발책을 들고 공부하기가 조금 꺼려지시는 분이 계시다면 한번 읽어보셔도 괜찮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랜만에 쓴 글이라 어째 글을 쓰는 것도 마음대로 잘 되지 않네요. 기술 관련 내용에 대한 글도 업로드를 해야지 하고서는 업로드 하고 있지를 않아서 자신의 게으름을 뼈아프게 깨닫게 됩니다. 앞으로는 책이든 기술 내용이든 뭐든 더 열심히해서 블로그도 제대로 꾸려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그럼 모두 좋은하루 되세요~^^ 

 

'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 원칙  (0) 2024.04.28
Hello Coding 개념부터 처음 배우는 프로그래밍  (0) 2023.02.12